오온과 유식 : 별밤서재

오온과 유식 요약정보 및 구매

대승오온론 역주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 모로 시게키
  • 민족사
  • 2018-09-30
  • 9791189269012 (1189269015)

20,000

18,000(10% 할인)

포인트
180p
배송비
무료배송
포인트 정책 설명문 닫기

00포인트

포인트 정책 설명문 출력

관심상품

선택된 옵션

  • 오온과 유식

관련도서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상품 정보

별밤서재 사은품
책 소개
대승오온론 역주
책 상세소개


이 책 『오온과 유식―대승오온론 역주』(이하 『오온과 유식』)은 일본의 촉망받는 유식불교 학자 모로 시게키(師 茂樹) 교수가 쓴 『대승오온론』 역주서다. 한국의 불교학자이자 불교 관련 양서를 꾸준히 번역 소개하고 있는 허암 김명우 선생이 옮겼다. 『대승오온론』은 유식불교를 대성시킨 세친(世親, Vasubandhu, 400~480)이 쓴 아주 짧은 논서다. 세친은 『유식삼십송』, 『유식이십론』 등 유식 관련 저작을 많이 남겼는데, 『대승오온론』도 그중 하나다. 『대승오온론』은 세친의 저작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저작들과 달리 불교 연구자들 사이에서 잘 알려져 있지 않고, 거의 연구된 적도 없다. 현재 한국에서 출판된 『대승오온론』에 관한 연구서는 이 책 『오온과 유식』이 유일하다. 그러나 최근 『대승오온론』의 산스크리트 사본과 안혜의 주석서가 출간되면서 향후 국내외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될 것이라 예상된다. 『오온과 유식』이 한국의 『대승오온론』 연구에 밀알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이 책에서 『대승오온론』 본문은 현장 스님이 번역한 한역과 현대어 번역을 함께 실어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쉽다. 한역과 산스크리트어 역, 티베트어 역의 내용이 다른 경우에는 각각의 현대어 번역을 함께 실었다. 또 오온·12처·18계·오위백법 등 유식사상의 핵심적 내용을 본문의 설명과 함께 그림과 표로 정리해 주고 있어 불교 공부를 하는 데 유용하다. 이 책은 불교를 공부하는 사람들, 유식을 공부하는 학자나 유식을 알고 싶어 하는 불교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일러두기 … 10

제1장 『대승오온론』을 읽기 전에 … 11
1. 시작하는 말 … 13
2. 저자 세친 … 16
세친의 전기 … 16
세친의 저작 … 28
●설일체유부 계통 저작ㆍ28 ●경전 주석서ㆍ28 ●유식 논서에 대한 주석서ㆍ29 ●중관파 논서에 대한 주석서ㆍ29 ●유식 논서ㆍ30 ●논리학 관련ㆍ30 ●그 이외의 저작ㆍ30
세친 2인설 … 32
3. 『대승오온론』에 대하여 … 37
『대승오온론』의 위치 … 37
『대승오온론』의 텍스트와 주석서 … 38

제2장 『대승오온론』을 읽다 … 43
1. 제목ㆍ저자ㆍ귀경게 … 45
귀경게 … 47
2. 『대승오온론』의 저술 배경 … 49
아비달마의 중요성 … 49
암기의 중요성 … 53
명상을 위한 암기 … 58
신비체험을 위한 암기 … 61
3. 『대승오온론』의 구성 … 64
전체의 구성 … 65
오위백법(五位百法) … 68

제3장 색온을 읽다 … 73
1. 색온(色蘊)의 종류 … 75
2. 네 가지 원소[四大種] … 78
사대종(四大種) … 78
사대종소조색(四大種所造色) … 80
사대종ㆍ사대종소조색에 의한 명상 … 83
오근(五根, 다섯 가지의 감각기능) … 86
오경(五境, 다섯 가지의 인식대상) … 88
무표색(無表色) … 92
●무표색과 계율ㆍ96 ●정신집중에 의해 생긴 물질적인 것ㆍ98 ●동아시아에서 발달한 무표색 연구ㆍ104 ●무표색과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ㆍ107
3. 색이란 무엇인가 … 108
주관적 신체 … 108
문화와 아뢰야식 … 112

제4장 수온·상온·행온을 읽다 … 115
1. 수온·상온·행온을 읽기 전에 … 117
불교에서의 ‘마음’ … 117
오온과 오위백법 … 123
2. 수온(受蘊) … 126
3. 상온(想蘊) … 129
4. 행온(行蘊)의 종류 … 133
5. 심법(心法, 심소법) … 135
변행(遍行) … 138
●변행이란ㆍ138 ●촉(觸)ㆍ138 ●작의(作意)ㆍ141 ●수(受)·상(想)ㆍ142 ●사(思)ㆍ142
별경(別境) … 145
●욕(欲)ㆍ146 ●승해(勝解)ㆍ147 ●염(念)ㆍ149 ●사마디(三摩地)ㆍ153 ●혜(慧)ㆍ154
선(善) … 156
●신(信)ㆍ158 ●참(?)ㆍ괴(愧)ㆍ159 ●무탐(無貪)ㆍ162 ●무진(無瞋)ㆍ164 ●무치(無癡)ㆍ165 ●정진(精進)ㆍ166 ●경안(輕安)ㆍ167 ●불방일(不放逸)ㆍ168 ●사(捨)ㆍ170 ●불해(不害)ㆍ172
번뇌 … 173
●탐(貪)ㆍ173 ●진(瞋)ㆍ174 ●만(慢)ㆍ175 ●무명(無明)ㆍ179 ●견(見)ㆍ181 ●의(疑)ㆍ185 ●선천적인 번뇌ㆍ후천적인 번뇌ㆍ186
수번뇌(隨煩惱) … 187
●분(忿)ㆍ187 ●한(恨)ㆍ188 ●복(覆)ㆍ188 ●뇌(惱)ㆍ189 ●질(嫉)ㆍ190 ●간(?)ㆍ191 ●광(?)ㆍ191 ●첨(諂)ㆍ192 ●교(?)ㆍ193 ●해(害)ㆍ194 ●무참(無?)ㆍ무괴(無愧)ㆍ195
●혼침(?沈)ㆍ도거(掉擧)ㆍ196 ●불신(不信)ㆍ197 ●해태(懈怠)ㆍ198 ●방일(放逸)ㆍ199 ●실념(失念)ㆍ200 ●산란(散亂)ㆍ201 ●부정지(不正知)ㆍ202
불결정(不決定) … 203
●악작(惡作)ㆍ204 ●수면(睡眠)ㆍ206 ●심(尋)ㆍ사(伺)ㆍ207
6.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 … 210
심불상응행의 정의와 종류 … 210
팔식설 … 213
심불상응행 … 216
●득(得)ㆍ216 ●삼계(三界)·선정과 식과의 관계ㆍ218 ●무상등지(無想等至)ㆍ220 ●멸진등지(滅盡等至)ㆍ221 ●무상소유(無想所有)ㆍ223 ●명근(命根)ㆍ224
●중동분(衆同分)ㆍ225 ●생(生)·노(老)·주(住)·무상(無常)ㆍ227 ●명신(名身)ㆍ구신(句身)ㆍ문신(文身)ㆍ229 ●이생성(異生性)ㆍ233 ●그 이외의 심불상응행ㆍ233
7. 행온 전체의 결어 … 235

제5장 식온을 읽다 … 237
1. 식온(識?) … 239
식이란 무엇인가 … 239
2. 최승심(最勝心, 아뢰야식) … 243
아뢰야식 … 243
아뢰야식의 존재 증명 … 248
아뢰야식과 아다나식 … 253
3. 최승의(最勝意, 말나식) … 256
4. 온(蘊)에 대하여 … 259

제6장 12처와 18계 … 261
1. 일체법 … 263
2. 12처(十二處) … 265
12처와 오온의 대응 … 265
무위법 … 269
왜 ‘처(處)’라고 하는가? … 273
3. 18계(十八界) … 274
18계와 오온의 대응 … 274
오온과 12처·8계와의 대응 … 277
왜 ‘계(界)’라고 하는가? … 281
4. 오온·12처·18계를 설한 이유 … 283

제7장 제문분별(諸門分別) … 285
1. 18계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 … 287
물질적인 것[有色]은 몇 개인가? … 289
보이는 것[有見]은 몇 개인가? … 291
공간을 점하고 있는 것[有對]은 몇 개인가? … 292
번뇌에 관계하는 것[有漏]은 몇 개인가? … 293
삼계와의 관계 … 298
오온과의 관계 … 301
선(善)·불선(不善)·무기(無記)와의 관계 … 303
‘나’의 내측·외측 … 304
인식대상을 가지고 있는 것[有緣]은 몇 개인가? … 305
구상작용(분별)을 가진 것은 몇 개인가? … 306
신체에 관계하는 것[執受]은 몇 개인가? … 308
동류인 것[同分]은 몇 개인가? … 309
2. 결어 … 312

제8장 마치는 말 … 313
마치는 말 … 315

옮긴이의 말 … 318
참고문헌 … 322
책속으로
▶p.37
그렇다면 지금부터 읽을 『대승오온론』은 세친 보살의 방대한 저작 중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할까? 우선 『대승오온론』은 세친 보살의 저작일까? 틀림없는 세친 보살의 저작이라고 말할 수 있다. 티베트 전승을 보면 세친 보살에게는 여덟 개의 대표적인 논서가 있다고 하는 ‘세친팔론(世親八論)’이 있는데, 이것에 『대승오온론』이 언급되어 있다. 또한 앞에서 언급했던 『구사론』에 대한 야쇼미트라의 주석에서 『구사론』의 저자 세친을 『대승오온론』의 저자로서 기술하고 있다. 세친 보살의 저작은 종종 무착 보살의 저작과 혼동되지만, 『대승오온론』에 대해서만은 그런 기록이 없다. 또한 모든 자료에서도 『대승오온론』을 세친 보살의 저작으로 기록하고 있다. 『대승백법명문론』, 『불성론』 등처럼 내용적으로 세친 보살의 저작인지 의심스러운 것도 있지만, 『대승오온론』만은 내용적으로 다른 저작과 모순되는 것도 없기 때문에, 확실한 세친 보살의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pp.45~46○ 한역
大乘五蘊論
世親菩薩造
三藏法師玄?奉 詔譯○ 현대어 역(한역)
대승[의 입장에 의한] 다섯의 집적[集積(오온)]에 관한 논.
세친 보살이 짓다.
삼장법사 현장이 조칙[詔, 황제의 명령]을 받들어[奉] 번역하다.○ 현대어 역(티베트어 역)
다섯의 집적(集積)[에 관한 논]
동자 모습의 만주스리(문수보살)에게 귀의합니다.
(namo ma?ju?riyo kum?rabh?t?ya)한역에서는 『대승오온론』이라는 제목으로 되어 있지만, 산스크리트본과 티베트어 역에서는 판차(pa?ca, 다섯) 스칸다(skandha, 모임 ? 집적), 즉 ‘오온’뿐이고 ‘대승’이라는 말은 없다. 오온설은 초기불교에서부터의 가르침이지만, 『대승오온론』은 그 골격을 이어받았으면서도 내용을 유식사상에 기초하여 크게 변화시킨 것이다. 그러므로 현장(玄?)은 전통적인 오온설과 쉽게 구별하기 위해 ‘대승’을 추가하였다고 생각한다.
다음으로 한역에서는 저자명과 번역자 이름이 등장하지만, 산스크리트본에서는 전통적으로 텍스트 마지막에 저자명을 기입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나오지 않는다. 저자는 세친 보살이며[世親菩薩造], 한역한 사람은 현장(玄?)이다.
설명을 덧붙이자면, 한역에서 ‘三藏法師玄?奉 詔譯(삼장법사 현장이 황제의 명령을 받들어 번역하다)’에서 ‘조(詔)’ 자 앞에 공백이 있는 것은 일부러 그렇게 한 것이다. 조(詔)는 ‘황제의 명령’이라는 뜻이다. 당시는 황제가 가장 높았기 때문에 조(詔) 자 앞에 다른 글자를 두는 것은 불경스럽다고 생각하여 공백을 두었던 것이다.▶pp.76~77
색온에 대해 기술하고 있는 세친의 저작인 『유식이십론』에서는 그 실재성을 철저하게 부정하고 있다. 유식, 즉 외계의 인식대상[境]은 존재하지 않으며, 단지 인식작용[識]뿐이라는 입장[唯識無境]에서 색(물질적인 것)의 실재성을 부정해 버린다. 이른바 색온에는 앞에서 언급한 법(法)의 자격이 없다고 한다. 그러므로 유식이십론』의 유식사상은 오온에서 물질적인 것인 색온을 제거하고, 정신적인 수·상·행·식만으로 설명하려는 입장(4온설)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반대로 『대승오온론』은 똑같이 세친 보살이 저술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색온에 일정(一定)한 실재성을 인정하고 있다고 생각한다(안혜소에서는 궁극적으로 외적인 대상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유식이십론』의 입장에서 해석하고 있다).
다시 말해 『대승오온론』은 전통적인 오온이라는 사고방식과 수·상·행·식뿐이라는 철저한 유식적 사고방식의 중간적인 입장을 취한다고 할 것이다. 유식사상 전체를 보면 유식 문헌 전체가 외계의 물질 등을 완전히 부정해 버리는 철저한 유식사상을 설하고 있지는 않다. 예를 들어 ‘유식’이라는 말을 처음으로 사용한 『해심밀경』에서는 명상수행자의 관찰대상을 ‘유식’, 즉 식(識)이 만들어 낸 것에 불과하다고 표현하고 있어, 명상을 하고 있지 않는 평상의 정신 상태에서는 유식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덧붙여 말하자면 아뢰야식은 유식사상을 대표하는 사상이며, 『대승오온론』에서도 설하고 있지만, 유식의 모든 문헌에서 기술하고 있지는 않다. 우리는 유식하면 바로 외계의 부정이나 아뢰야식을 생각하지만, 문헌마다 다양하게 기술하고 있다.
출판사 서평
유식의 거장 세친이 저술한 『대승오온론』 본격 역주서!
초기불교의 근본개념인 ‘오온(五蘊)’으로
대승불교의 ‘유식(唯識)’을 해설하다!『대승오온론』은 제목 그대로 불교의 근본 개념 중의 하나인 ‘오온(색온·수온·상온·행온·식온)’을 바탕으로 유식사상을 설명하는 책이다. 유식이란 ‘오직 식뿐이다’, 즉 이 세계에는 ‘식’이라는 마음 작용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런 유식사상은 프로이트나 칼 융의 심층심리학에 앞지르는 사고방식이라고도 하고, 현대사상의 창시자인 소쉬르의 언어학과 비슷하다고 보아 유식을 현대적이고 선진적 사상으로 이해하는 이들이 많다.
그런데 이 책의 저자 모로 교수는 유식사상의 보수적인 측면에 주목한다. 여기서 ‘보수적’이라는 것은 석가모니 부처님 시대부터 전해 내려 온 오온설이라는 전통적 틀로 대승불교인 유식사상을 해설한다는 의미다. 모로 교수는 유식사상은 대단히 어렵지만, 오온(五蘊) 등의 사상, 그리고 그것을 이어받아 정밀화한 아비달마불교의 사고방식에 의지하면 유식을 의외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고 말한다. 반면 이것들을 근거로 삼지 않으면 오해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오온설에서는 우리 인간을 비롯해 살아 있는 생물은 물질적인 것, 즉 신체와 감수작용·개념화·형성작용·식별이라는 정신적인 작용이 모인 것이라고 설명한다. 인간에게는 자아나 영혼과 같은 것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것은 다섯 종류의 요소의 모임(오온)에 불과하다는 것이 불교에서 오온설을 고안하게 된 포인트다. 오온을 구성하는 다섯 개의 그룹(색·수·상·행·식)은 각각 법이다. 12처와 18계도 동일하다. 불교에서는 인간 혹은 생물을 구성하고, 이것을 성립시키고 있는 요소로서의 12개의 법이나 18개의 법을 들어, 그것을 사용해서 설명하고자 했던 것이다. 『대승오온론』은 이런 12처·18계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대승오온론』은 유식사상을 대표하는 문헌으로 유명한 세친의 또 다른 저작 『유식삼십송』이나 이것을 십대논사가 주석한 것을 편집한 『성유식론』과 그 구성이 다르다. 『유식삼십송』 등은 처음에 팔식설(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말나식·아뢰야식)을 설명하고, 다음에 삼성설(의타기성·변계소집성·원성실성)·삼무성설(상무자성·생무자성·승의무자성)을 소개한다. 그리고 계속해서 수행의 5단계(자량위·가행위·통달위·수습위·구경위)에 대해 해설한다. 무착 보살의 주요 저작인 『섭대승론』에서도 동일하게 구성하고 있다. 그러므로 현재에도 유식사상이라고 하면 팔식설과 삼성설이 대명사로 되어 있다.
그러나 『대승오온론』은 어디까지나 오온·12처·18계가 기본이다. 『대승오온론』에도 팔식설을 설하고 있기는 하지만 오온 중에 식온 부분에서 설명을 하고 있으며, 『유식삼십송』처럼 중심적인 사상으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도 않다. 또 『대승오온론』에서는 『유식삼십송』과는 달리 수온(受蘊)과 상온(想蘊)을 제외한 나머지 심소법 전체를 행온(行蘊)에서 설명하고 있다.
이 때문에 『대승오온론』은 세친의 많은 저작 중에서 설일체유부의 입장에서 저술한 『구사론』과 유식사상을 30개의 게송으로 집대성한 『유식삼십송』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저작으로 추측된다. 다시 말해 『대승오온론』은 부파불교에서 유식으로 사상적 입장을 바꾼 세친의 과도기 사상을 전하는 중요한 논서라고 할 수 있다.아비달마를 소승불교와 연결시키는 것은 편견에 불과해…
유식학파는 대승의 아비달마다!유식을 공부하려면 ‘유식 3년, 구사 8년’이라고 하는데, 여기서 ‘구사’란 ?아비달마구사론?(이하 ?구사론?으로 약칭)이라는 아비달마[abhidharma, 경전을 해설하거나 주석한 논(論)]를 대표하는 문헌을 뜻한다. ‘유식 3년, 구사 8년’이란 ?구사론?을 8년 공부하면 유식 공부는 3년으로 끝낼 수 있다는 의미이지만, 3년 또는 8년이라는 숫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구사론?으로 대표되는 아비달마를 아는 것은 유식을 이해하기 위해 중요하다는 것이다. ?유식삼십송?보다 보수적인 색채가 강하고, ?구사론?과 겹치는 부분이 많은 ?대승오온론?은 이런 의미에서 유식을 이해하기 위해 적합한 문헌이다.
저자는 아비달마를 부파불교를 대표하는 문헌으로 생각하여 ‘소승’의 대명사처럼 생각하는 것은 편견에 불과하다고 역설한다. 기원 전후에 재가자를 중심으로 대승불교가 흥기하면서 이전의 부파불교를 ‘소승’이라고 경멸하는 명칭으로 부르면서 비판하였는데, 이것이 지금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이런 식의 역사관은 적어도 학문의 세계에서는 성립할 수가 없다. 부파불교나 아비달마를 작고 열등한 ‘소승’으로 보려는 것은 어디까지나 대승불교가 유행한 동아시아적인 편견에 불과하다.
대승에도 아비달마가 있다. 아비달마란 부처님의 설법을 체계적으로 정비한 것이기 때문에 대승경전을 토대로 사상을 체계화한 아비달마가 있었다는 것이 이상하지 않다. ?중론?을 쓴 용수 보살은 역사상 최초로 이름이 알려진 대승아비달마 논사 중의 한 사람이다. 저자는 유식학파를 자신들이 대승의 아비달마라는 것을 강하게 의식하고 있었던 집단이었다고 본다. 그것은 유식학파가 ?대승아비달마경?이나 ?대승아비달마집론?이라는 문헌을 가지고 있었던 것에서도 알 수 있다.
저자는 아비달마=부파불교, 아비달마=소승이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아비달마를 보다 폭넓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대승오온론?은 오온이라는 전통적인 개념을 중심으로, 대승 특히 유식학파의 입장에서 불교 교리를 체계화한 아비달마 논서 중의 하나이다.
상품 정보 고시
도서명 오온과 유식
저자 모로 시게키
출판사 민족사
출간일 2018-09-30
ISBN 9791189269012 (1189269015)
쪽수 336
사이즈 152 * 224 * 22 mm /418g
배송공지

사용후기

회원리뷰 총 0개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0개의 상품문의가 있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교환/반품

교환 및 반품
[반품/교환방법]
마이페이지> 주문배송조회 > 반품/교환신청 또는 고객센터 (1544-0435)로 문의 바랍니다.

[반품주소]
- 도로명 : (10882) 경기도 파주시 산남로 62-20 (산남동)
- 지번 : (10882) 경기도 파주시 산남동 305-21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14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반품/교환비용]
단순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반품/교환 불가 사유]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을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 (1) 해외주문도서 : 이용자의 요청에 의한 개인주문상품으로 단순변심 및 착오로 인한 취소/교환/반품 시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고객 부담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 ①양서-판매정가의 12%, ②일서-판매정가의 7%를 적용)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됩니다.
-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 오온과 유식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오온과 유식
    오온과 유식
    18,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