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아! 황아! 내 거처로 오려무나 : 별밤서재

황아! 황아! 내 거처로 오려무나 요약정보 및 구매

중국문학, 사랑에 빠지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 이영숙
  • 뿌리와이파리
  • 2020-01-15
  • 9788964621356 (8964621352)

16,000

14,400(10% 할인)

포인트
720p
배송비
무료배송
포인트 정책 설명문 닫기

00포인트

포인트 정책 설명문 출력

관심상품

선택된 옵션

  • 황아! 황아! 내 거처로 오려무나

관련도서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상품 정보

별밤서재 사은품
책 소개
중국문학, 사랑에 빠지다
책 상세소개
사랑의 서사, 연애의 발견, 낭만의 서정, 관능의 담론…… 3000년 동안 사람들은 어떻게 사랑하고 이별했을까?

사랑은 이렇게 역사가 된다― 중국문학으로 보는 낭만과 에로티시즘의 변주 춘추전국의 ‘미스터&미세스 스미스’, 범려와 서시 왕소군의 프로필 사진 조작사건 황제들의 커밍아웃, 궁정의 ‘동성애’ 처녀 숭배, 그 빛과 그림자-『몽골비사』와 「뮬란」 무엇을 생각하든 상상 그 이상, 『금병매』 황태자의 첫사랑, 황실 스캔들의 주인공 되다-고태청과 공자진

목차
머리말

봉건의 시대를 관통하는 자유의 감성
황하 물결 위로 흐르는 사랑, 『시경』
춘추전국의 ‘미스터&미세스 스미스’, 범려와 서시
상상 속에 그녀가 있다, 굴원의 판타지 『초사』
열혈감성 항우의 ‘패왕별희’

유학의 권위 위로 흐르는 낭만
사마상여와 탁문군의 유혹의 소나타
강철군주 한 무제의 ‘사랑과 영혼’
왕소군의 프로필 사진 조작사건
세로토닌 반첩여와 도파민 조비연

생기발랄, 적나라한 사랑의 흔적들
발라드에서 랩까지 대중가요의 모든 것 ‘악부시’
길거리 헌팅의 시조 「맥상상」
황제들의 커밍아웃, 궁정의 ‘동성애’

인간의 발견, 예술의 지향이 부른 격정 멜로
조조 삼부자의 ‘사랑을 했다’
향수로 훔친 사랑, 가오와 한수
위진의 아이돌 위개와 반악
고부 갈등의 끝판왕 「공작동남비」
죽림칠현의 ‘인간중심 사랑’

혼혈·불교·개방의 시대가 품은 애정만세
막장인가 로맨스인가, 현종과 양귀비의 「장한가」
성격의 발견과 문학적 취향, 이백과 두보
시 잘 쓰는 멋진 누나, 설도를 사랑한 원진

시민과 전족의 경계가 만든 연애의 공식
사랑을 부르는 속삭임, 송사
주숙진과 이청조의 규방 반란
육유와 당완의 우연과 필연 사이
대중문화의 붐, 화본소설

유목과 농경의 혼종 시대, 혼종의 사랑
칭기즈칸의 정복이 부른 나비효과, 잡극의 탄생
처녀 숭배, 그 빛과 그림자-『몽골비사』와 「뮬란」

자본과 진보의 시대, 에로티시즘의 탄생
마더 콤플렉스가 키운 천재 극작가 서위
무엇을 생각하든 상상 그 이상, 『금병매』
중국의 『데카메론』, 『삼언』 『이박』
B급 감성, 황색 저널의 반란 『괘지아』와 『산가』
예술의 뮤즈, 구국의 선구 되다-‘진회팔염’

제국의 물결 속에 피어난 오색찬란한 욕망
북경 오페라 경극과 핏빛 사랑 「도화선」
성적 판타지가 양산한 여우 괴담 『요재지이』
청대의 『오만과 편견』, 『홍루몽』
황태자의 첫사랑, 황실 스캔들의 주인공 되다-고태청과 공자진

작품 속 시대 구분과 주요 문학작품
참고문헌
책속으로
이별 통보에 치마를 걷어붙이고 강을 건너겠다는 이 시의 화자는 분명 여성이다. 『주례』에서는 남녀가 유별하다 했거늘. 태어나면서부터 눕는 곳이 사내아이는 침대, 여자아이는 바닥으로 눕는 곳조차 달랐거늘. 여자는 남자의 그늘이며 타자이자 소유물로만 존재하거늘. 그런데 이 여인은 헤어지자는 남자에게 감히 무시무시한 협박과 저주를 퍼붓는 게 아닌가? 한술 더 떠 짝사랑이나 집착은 사절이니 새 사랑을 찾겠노라고 선언한다. 그 상대는 너 따위의 평범한 남자가 아니라 귀족인 ‘사士’와 ‘인人’에 속하는 자로, 지위와 계급이 상당한 자들이라는 거다. 유치하리만큼 솔직하고, 놀라우리만큼 거침없다. (21쪽) 지금은 고인이 된 장궈룽張國榮 주연의 영화 〈패왕별희〉를 기억하는가? 우수에 찬 눈빛으로 동성 친구 살루(장펑이)를 바라보던 데이(장궈룽)의 애틋한 연기는 동성애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일신할 만큼 압권이었다. 영화에서 경극 학교 단짝인 데이와 살루가 공연하는 극중 경극이 바로 서초패왕(패왕) 항우와 정인 우희의 이별(별희) 이야기다. 경극과 실제를 혼동하며 사랑과 우정 사이의 아슬아슬한 감정을 느끼는 데이와 살루의 이야기가 항우와 우희의 사랑을 모티브로 했다니, 2000년 세월을 뛰어넘는 문학의 힘과 사랑의 생명력은 참으로 위대하지 않은가. (46~47쪽)뽕나무는 빠른 성장 속도, 무성한 푸른 잎, 통통한 누에의 왕성한 식성, 붉게 맺히는 열매 오디의 색감, 누에가 토해내는 생사生絲의 경제력, 비단이 자아내는 화려함 등이 주는 이미지로 식물이면서도 동물적 욕망과 관능도 내포한다. 고대 중국에서 뽕나무는 생계의 중요한 수단 중 하나로, 여성들도 참여할 수 있는 중요한 경제 동력이었다. (……) 뽕나무는 경제적 효과만 있는 것이 아니었다. 여성들은 양잠에 종사하면서 규방을 벗어날 구실을 만들 수 있었다. 남성들도 길이나 거리에서 뽕 따는 여인을 보고 악의 없이 희롱하며 지분대곤 했다. 그러면서 뽕나무는 어느새 남녀 간의 은밀한 만남과 밀어를 상징하게 되었다. 이따금씩 잎이 무성한 뽕밭에서 벌어지는 밀회와 야합은 그 내밀한 일탈과 도발을 암시했다. (89~90쪽)전족은 기형적으로 작게 고정시켜 만든 발과 뒤뚱거리는 걸음걸이로 남성을 성적으로 만족시키려는 야만적 전통의 산물이다. 처음에는 궁정과 환락가에서 시작되었다가 ‘더 작고 더 부드럽고 더 순종적인’ 여성 신체에 대한 환상을 부추기면서 급기야 일반가정에까지 보급되었다. 전족은 ‘정절’과 ‘금욕’이 구체화된 족쇄로, 여성의 정신적·신체적 소유권이 남성과 가문에 예속되어 있음을 의미했다. 남성들의 병적 심미관을 충족시키며 한낱 소유물로 취급되었던 송대 여성에게 연애·결혼·출산의 자유가 있을 리 만무했다. 사랑의 감정은 시대를 초월하지만, 사랑의 행위는 시대에 종속되었다. 전족에 갇힌 여인의 발처럼 말이다. (187쪽)육유가 사랑한 이는 사촌누이 당완이었다. 문학적 취향과 인생의 가치관이 비슷했던 두 사람은 육유가 스무 살 되던 해에 혼인했다. 둘은 마냥 행복했지만, 육유의 어머니는 입장이 달랐다. 그녀는 아들의 과거 낙방도, 대를 이을 후사가 없는 것도 모두 당완 탓이라 여겼다. 그래서 며느리를 구박하며 호시탐탐 쫓아낼 기회를 노렸다. 그러다 자신의 60세 생일날, 며느리를 애먹일 억지스러운 주문을 한다. 당완에게 수수께끼 같은 음식을 만들도록 요구한 것이다. “달걀이지만 달걀이 아닌 것 같고, 가루음식이지만 가루음식이 아니며, 노르스름하게 튀겼으나 입에 넣으면 말랑말랑하고, 소금을 넣되 먹으면 달며, 국자와 그릇에 달라붙지 않고, 씹지 않고 넘길 수 있는 음식을 만들어 오너라.” (196쪽)우스갯소리로 진료하다 눈이 맞고, 선거를 치르다 불꽃이 튀기며, 비행기 조종을 하다가도 연애를 한다는 한국 드라마 공식처럼 송대 상인들도 물건을 팔다가, 상품을 교역하다가, 무역을 성사시키다가 ‘사랑’에 빠지곤 했다. 표구장이의 딸과 옥 세공기술자의 연애담 『연옥관음?玉觀音』, 부유한 상인 딸의 납치와 감금 서스펜스 『다정한 승선 씨鬧樊樓多情周勝仙』, 늙은 점포 주인의 아내와 젊은 점원의 불륜 드라마 『심지 곧은 장승志誠張主管』, 땡중 스토커의 악성 댓글로 누명 쓴 여인의 치정 법정극 『땡중의 쪽지簡帖和尙』까지. 어떤가? 이 정도면 이재에 민감하고 현실에 밝은 송나라 시민들이 기꺼이 돈을 주고 볼 법하지 않은가? (202~203쪽) 특히 몽골 왕조는 한족의 동요를 막고 그들 위에 철저히 군림해야 한다는 강박에 시달렸다. 그래서 종족을 4등급으로 나누고 한족을 가장 낮은 계급에 두어 경계했다. 그러나 지독한 규제와 압박은 실은 한족의 뛰어난 문화적 전통과 우수성에 대한 질시와 열등감의 발로였다. 힘있는 자의 열등감은 폭력적 결과를 초래한다. 원나라에서는 이것이 ‘정절’과 ‘처녀성’에 대한 지나친 집착과 강조로 나타났다. 유목 종족이라고 예의나 절도를 모르지 않으며 결코 야만스럽지 않고 충분히 문명화되었다는 일종의 과시였던 셈이다. 초원을 누비며 말을 달리고 고원에서 사냥을 하며 게르에서 야생의 아이들을 키워내던 용맹하고 거침없는 노마드 여인들은 이제 신체와 정신이 꼼짝없이 갇힌 신세가 되었다. 규방과 처녀성이라는 그 견고한 철옹성에 말이다. (224~225쪽)우리에게 디즈니 애니메이션 〈뮬란〉으로 더 친근한 「목란시木蘭詩」는 원래 위진 시대 북위 효녀 목란이 부친을 대신해 남장을 하고 전장에 나가 싸운 용맹한 전쟁 참여시다. 그런데 이 용감하고 기특한 효녀가 원나라에서는 어떻게 돌변하는지 보라. (……) 목란 이야기가 워낙 핫하고 흥미로워 역대로 많은 개작과 각색을 거치며 재생산되었지만, 천자의 수청에 목란이 자결로 절개를 지킨다는 전개는 원대에 생뚱맞게 등장한 스토리다. 부친 대신 남장 종군까지 한 목란에게 천자의 수청을 거절하는 ‘절개’까지 요구하며 이중의 압박을 가하다니, 이는 극단적인 남성 이기주의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목란은 급기야 ‘처녀성’이라는 수의를 입고 ‘여신’의 경지까지 승천한다. (225~226쪽)이 책이 금서가 된 진짜 이유는 따로 있다. 감독판쯤 되는 무삭제 완결판 성행위 묘사가 그것이다. 그때까지 대개의 작품에서 그려지는 사랑 행위라는 게 참으로 제한적이고 천편일률적이었다. ‘촛불이 꺼졌다’라든지 ‘뜨거운 밤을 보냈다’라는 식으로 에둘러 표현하거나, 기껏해야 ‘옥 같은 몸이 내 품에 안겨 있네’라거나 ‘꽃봉오리 같은 입술 벌어졌다’ 정도였다. 그런데 『금병매』에는 성행위 관련 묘사가 무려 174군데, 그것도 아주 노골적이고 화끈하게 묘사되어 있다. 그 상대도 고용인의 아내, 친구 부인, 유부녀로 온통 불륜이며 간통이며 패륜이었다. 그뿐인가. 정사를 돕는 환약이니 보조기구며 변태적인 성행위까지 등장하니, 모두들 이 낯뜨거운 장면들에 입을 딱 벌리고 기겁을 했던 거다. 넘지 말아야 할 선, 금단의 열매, 금지된 장난은 청소년에서 어른이 되는 짜릿한 성장통인 것만 같다. 마치 사춘기 시절 문을 닫아걸고 읽는 빨간책처럼, 그 시대 『금병매』는 이른바 진짜배기 어른이 되는 통과 의례요 지침서이자, 어른을 위한, 어른의 문화와 놀이였던 셈이다. (241~242쪽)‘인간 세상에 없을’ ‘혼을 쏙 빼놓는’ ‘요염한’ 여인과의 ‘황홀경’이라니. 이 정도면 그야말로 동물적 야성과 여성적 관능을 동시에 맛보고 싶은 남자들의 이기적 로망이 심각한 수준 아니겠는가. 뭐 이해는 한다. 일부 여성들도 ‘신데렐라 신드롬’에 빠져 도대체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을 법한 백마 탄 왕자님을 소망하니까. 관능적인 마돈나와 부유하고 유능한 평강공주로 현신한 ‘여우 요녀’는 남성들에게 구원의 환상을 소설 속에서나마 도모하게 했다. 그러나 환상은 환상일 뿐. 포송령은 미색과 허망의 유혹에 허덕이는 남성들에게 판타지의 결말을 경고한다. ‘사람 가죽 탈’이라는 뜻의 「화피」 이야기를 보면 미망에 허우적대던 남성들이 현실의 타격을 정면으로 마주하는 장면을 목격하게 된다. (287~288쪽)청나라 말기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황실 스캔들 ‘정향화丁香花 사건’의 주인공 고태청顧太淸 역시 그런 심리가 만들어낸 언론과 여론의 희생양이었다. 그녀는 『홍루몽』의 속편인 『홍루몽영紅樓夢影』을 비롯해 다수의 사詞와 희곡을 저작한 청대 최고의 여류 작가였다. 황태자의 첫사랑이자 사교계의 여왕이면서 스캔들의 주인공이 된 고태청. 그녀는 대체 어떤 여인이길래 이 수많은 타이틀을 달고 세인들의 입에 오르내리게 되었을까? (301쪽)
출판사 서평
뽕잎을 땁니다, 푸른 물가에서
『시경』은 공자가 3000여 편의 작품을 300편으로 편집하여 “시 삼백 편은 지나침이 없다詩三百思無邪”고 극찬한 이래, 중국에서 가장 권위 있고 문학적 가치가 높은 작품으로 인정받아 왔다. 그러나 대다수의 유학자들은 공자의 권위를 빌려 『시경』을 정치적 교화의 도구로 사용하고자 했다. 그러나 작품들을 감상하다보면 ‘꾸룩꾸룩’ 우는 물수리에 연인을 떠올리는 가락 어디가 왕의 공덕이고, 담장 넘어 찾아오라는 유혹의 말이 어떻게 황후의 겸양인지 도통 알 수 없다. 정작 ‘임금님이 벌거벗었다’고 용기 있게 말한 사람은 프랑스의 저명한 중국학자 마르셀 그라네Marcel Granet였다. 왜 이런 사랑의 노래, 애환의 가락이 교화의 의미로 해석되는지 의문을 제기하면서, 비로소 『시경』은 경학의 무게와 예악의 그늘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그렇다. 문학은 이렇게 날것의 느낌과 감정을 고스란히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 면에서 사랑만큼 문학의 소재로 빈번히 등장하는 소재가 있을까. 삶은 곧 사랑의 역사라고 할 만큼 다양한 사랑의 흔적들이 중국문학 속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궁중문학, 사대부문학, 민간문학을 망라하여 그들은 사랑을 노래했고 연애를 찬양했다.
이 책은 주周나라부터 청淸나라에 이르기까지 시대성과 문화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주된 중국문학 속의 사랑 이야기 34편을 소개한다. 유가의 지엄한 강령, 도가의 무위자연적 사변, 불가의 구제해탈의 철학을 넘어서, 시대와 역사의 굴곡에서도 사랑은 남는다. 그리고 사랑은 문학을 남긴다. 늦봄의 유희가 떠올라 이 글을 짓노라
3000년 동안 사람들은 과연 어떻게 연애하고 사랑하고 이별하고 복수했을까? 적나라한 날것의 사랑과 애정, 밀회, 혼인, 실연, 일탈……. 이 모든 오욕칠정과 희로애락을 담은 각양각색의 이야기들은 3000년이 넘는 중국문학의 명맥을 현재까지 견인하는 감성과 소통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다.
그중 몇몇 이야기를 소개하자면, 뽕밭 연애의 정서는 의외로 지엄한 종법과 예교를 규정한 『주례』의 “음력 2월에는 남녀가 모여 야합하는 것을 금하지 않는다”는 구절에서 기인한다. 원기 왕성한 젊음의 혈기를 도덕과 규범으로만 억압할 수 없음을 간파했던 것일까. 그러나 불타올랐던 사랑과 연애에도 끝은 있는 법. “당신이 날 사랑한다면 치마 걷고 진수라도 건널 테지만/당신이 날 사랑 않는다면 어디 다른 사람(人) 없을까./저 경솔한 미친 녀석!” 「치마를 걷고?裳」의 한 구절이다. 유치하리만큼 솔직하고, 놀라우리만큼 거침없다. 배신남에 대한 호칭은 바보, 멍청이, 미친 녀석. 거침없이 고백하고, 갈등 없이 협박하며, 미련 없이 이별하는 여인. 이것이 종법제도가 지엄했던 주나라 여인들의 화끈하고 뒤끝 없는 사랑법이었다.
그리고 몽골이 중원을 만났을 때의 지적 쇼크와 문화 충돌을 우리는 목란에 관한 흥미로운 기록들을 통해 유추할 수 있다. 우리에게 디즈니 애니메이션 〈뮬란〉으로 더 친근한 「목란시木蘭詩」는 원래 위진 시대 북위 효녀 목란이 부친을 대신해 남장을 하고 전장에 나가 싸운 용맹한 전쟁 참여시다. 목란 이야기가 워낙 핫하고 흥미로워 역대로 많은 개작과 각색을 거치며 재생산되었지만, 천자의 수청을 거절한 목란이 자결로 절개를 지킨다는 전개는 원대에 생뚱맞게 등장한 스토리다. 원대에 ‘정절 숭배’와 ‘처녀 여신’의 신화로 재생산된 목란 이야기는 문화적 돌연변이 또는 정복민인 몽골 왕조의 피정복민인 한족 문화와 예법에 대한 콤플렉스가 낳은 사생아일지도 모른다.
또한 『금병매』의 출간은 명대 사회에 던지는 폭탄과도 같았다. 기껏해야 ‘옥 같은 몸이 내 품에 안겨 있네’라거나 ‘꽃봉오리 같은 입술 벌어졌다’ 정도였던 성행위 묘사가 『금병매』에서는 무삭제 완결판으로 등장한다. 성행위 관련 묘사가 무려 174군데, 그 상대도 고용인의 아내, 친구 부인, 유부녀로 온통 불륜이며 간통이며 패륜이었다. 정사를 돕는 환약이나 보조기구, 변태적인 성행위까지 등장하니, 『금병매』가 금서가 된 진짜 이유다.
그 밖에도 종족과 출신, 명예와 이목보다 ‘사람과 생명’이 먼저였던 글로벌 러브스토리의 선구자 완함이 있고, 『앵앵전』으로 대신한 원진의 고해성사가 있고, 가혹한 시집살이로 ‘삼부점三不粘’이라는 디저트까지 만들어내지만 결국 헤어진 육유와 당완의 첫사랑이자 끝사랑 이야기가 있다. 사생아, 양자, 남편, 살인자의 삶을 살면서 마더 콤플렉스에 시달린 불우한 천재적 예술가 서위는 어떠한가. 또한 관능적인 마돈나와 부유하고 유능한 평강공주가 결합된 것 같은 ‘여우 요녀’와 남성의 사랑 이야기는 남성의 성적 판타지를 실현시키되 결국은 현실의 타격을 정면으로 마주할 수밖에 없게 한다. 언론과 여론의 위력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매한가지니, 황태자의 첫사랑이자 사교계의 여왕으로서 황실 스캔들(정향화丁香花 사건)의 주인공이었던 고태청이 있다. 이처럼 저자는 시대의 흐름을 따라 대표적인 시와 글에 녹아든 사랑의 이야기를 발굴하되, 시간과 공간을 넘나들며 당시의 시대와 문화를 직조해낸다. 고전문학을 현대적인 대중문화의 시선으로 해석하고 그 콘텐츠화를 지향하는 저자의 이야기꾼으로서의 재능이 반갑다. 말미의 ‘작품 속 시대 구분과 주요 문학작품’으로 이 책을 정리해낼 수 있는 것은 보너스다.
상품 정보 고시
도서명 황아! 황아! 내 거처로 오려무나
저자 이영숙
출판사 뿌리와이파리
출간일 2020-01-15
ISBN 9788964621356 (8964621352)
쪽수 316
사이즈 150 * 224 * 29 mm /472g
배송공지

사용후기

회원리뷰 총 0개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0개의 상품문의가 있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교환/반품

교환 및 반품
[반품/교환방법]
마이페이지> 주문배송조회 > 반품/교환신청 또는 고객센터 (1544-0435)로 문의 바랍니다.

[반품주소]
- 도로명 : (10882) 경기도 파주시 산남로 62-20 (산남동)
- 지번 : (10882) 경기도 파주시 산남동 305-21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14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반품/교환비용]
단순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반품/교환 불가 사유]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을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 (1) 해외주문도서 : 이용자의 요청에 의한 개인주문상품으로 단순변심 및 착오로 인한 취소/교환/반품 시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고객 부담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 ①양서-판매정가의 12%, ②일서-판매정가의 7%를 적용)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됩니다.
-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 황아! 황아! 내 거처로 오려무나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황아! 황아! 내 거처로 오려무나
    황아! 황아! 내
    14,400